728x90
반응형
🎯 청약 당첨되면 생기는 세금과 비용 총정리 (2025년 기준)
✅ 1. 청약 당첨 후 비용 흐름 한눈에 보기
복사편집
청약 당첨 → 계약금 납부 → 중도금 납부 → 잔금 납부 → 취득세 납부 → 입주
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세금 및 비용 항목을 하나씩 설명할게.
🧾 2. 계약금 (통상 분양가의 10%)
- 청약 당첨 후 계약 체결 시 납부
- 세금은 발생하지 않지만, 납부 기한 내 미납 시 당첨 취소되므로 주의!
- 예) 분양가 5억 원 → 계약금 5,000만 원 납부
💸 3. 중도금 (보통 3~6회 분할)
- 분양가의 60% 내외
- 대출이 함께 진행되는 경우 많음 (중도금 대출)
- 중도금 납부 자체로 세금은 없음
단, 중도금 대출 시 이자 발생 → 본인 부담
💰 4. 잔금 (잔여 분양가 납부)
- 보통 입주 시점에 납부
- 전액 자비 or 잔금 대출 활용 가능
- 이 시점부터는 본인 소유가 되므로 각종 세금 발생
🏷️ 5. 취득세 (가장 중요한 세금)
분양가 기준취득세율비고
1억 5천만 원 이하 | 1.1% | 일반세율 |
1억 5천만 원 초과 ~ 3억 이하 | 1.3% | |
3억 원 초과 ~ 6억 이하 | 1.5% | |
6억 원 초과 | 3.5% |
✅ 생애최초·신혼부부 등 감면 대상자는 감면 가능
✅ 오피스텔은 4.6% 고정 (비주택 취급)
🏢 6. 등기 관련 비용
- 등록면허세, 등기신청수수료, 법무사 비용 등
- 보통 분양가의 0.2% ~ 0.4% 수준
- 실무에서는 대략 20만~60만 원 정도 소요됨
🧮 7. 기타 비용
항목내용
인지세 | 계약서 작성 시 발생 (5천원 or 1만원) |
관리비 선납 | 입주 전 몇 달 치 선납 요청 가능 |
옵션 비용 | 붙박이장, 발코니 확장 등 선택 시 발생 |
발코니 확장비용 | 일반적으로 1,000만 원 내외 |
💬 8. 보너스 정보: 취득세 감면 대상 체크
- ✅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
- ✅ 신혼부부
- ✅ 다자녀 가구
- ✅ 청년층 → 해당 시 취득세 50~100% 감면 가능 (정책 변동 가능하므로 꼭 최신 기준 확인!)
📝 마무리 정리
항목주요 비용/세금
계약금 | 분양가의 약 10% |
중도금 | 분양가의 60% 내외 (이자 주의) |
잔금 | 나머지 분양가 |
취득세 | 1.1%~3.5% (감면 가능성 체크) |
등기비용 | 20만~60만 원 수준 |
기타비용 | 옵션비, 발코니 확장, 인지세 등 |
실수요자 팁
👉 청약 당첨 시 예상 비용 총합을 미리 계산해두는 게 매우 중요해!
👉 특히 대출이 필요한 부분은 은행 상담과 대출한도 확인 필수
728x90
반응형
'부동산 쉽게 배우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시 세금 혜택 총정리 (2025년) (1) | 2025.04.17 |
---|---|
다주택자 중과세 기준 양도세 계산 (2025년) (0) | 2025.04.17 |
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법 총정리 (2025년 기준) (0) | 2025.04.17 |
신혼부부 취득세 감면 혜택이 궁금하다면 ? (1) | 2025.04.14 |
생애최초 주택 취득시 취득세 혜택 (1) | 2025.04.13 |
댓글